대한민국 정보센터

임금피크제 정년고용연장형 상세내용

인류의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전세계가 고령화 추세에 맞추어 새로운 정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임금피크제도 이와 관련된 국가 정책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는데요. 고령층을 넘어 60세 이상 노령층이 되어도 앞으로 살아갈 날이 20년 길게는 30년이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벌써 직장에서 은퇴를 준비해야 한다면 은퇴 이후의 삶은 불보듯 뻔하게 힘들어 질 것입니다. 이런 시대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 정부에서도 임금피크제를 도입하여 노령층 인구의 자립을 돕고 있는데요.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이번 포스팅에서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임금피크제란 무엇

50세가 넘어서는 장년층들이 매일 걱정하는 고용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기업의 입장은 고령층의 높은 연봉을 감당하면서까지 그들을 고용하고 싶지 않다는 입장이구요. 양측의 입장이 모두 이해가 되기에 이를 해결하는 합리적인 방안으로 임금피크제가 도입되었습니다.



임금피크제란 고령층에 속하는 근로자들의 자신들의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기업측에서는 고령층 근로자의 고용 및 근로를 보장하는 상호협조적 제도라 하겠습니다. 고액 연봉을 받았던 고령 근로자들은 고용을 보장받을 수 있어서 이득을 볼 수 있으며, 기업은 그들의 임금으로 지출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재정적으로 이득을 보는 것입니다.


임금피크제의 종류

-정년연장형

-고용연장형

-근로시간 단축형

여러 가지 방식으로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정년고용연장형 임금피크제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정년고용연장형 임금피크제를 적용하는 근로자가 정년이 되기 전부터 임금을 감액하기 시작하여 정년을 맞이 합니다. 그러나 정년에 은퇴를 하는 것이 아니라 정년 이후에도 근로기간을 이어가게 되는데요. 



이렇게 근무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정년 전에 감액되었던 임금과 정년 이후에 받은 임금을 합치면 원래 받아야 하는 정년까지 임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받게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업측은 연간 지출되는 비용을 분산시켜 재정상 이익을 보게 되며 고령 근로자의 노하우와 실력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부도 임금피크제로 인해 세금 제원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는데요. 근로자가 납부하게되는 사회보험의 금액이 높아 짐에 따라 연금을 수급하게 되는 연령도 높아지고 국가에서 지출되는 연금은 줄어들게 되는 상부상조하는 장점이 발생하게 됩니다.


실제 임금피크제 적용 근로자 후기

이 내용은 고용노동부 블로그에 업로드된 후기로 실제로 임금피크제를 앞두고 있는 고령 근로자의 이야기입니다. A씨는 현재 정년을 앞두고 있는 고령 근로자로 정년연장형 임금피크제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A씨는 퇴직하는 것보다 정년까지 현재 자신의 연봉을 내려서 받고 정년 후에도 근무할 수 있는 것을 택했습니다.


A씨는 정년퇴직 후 새로운 도전을 해볼 수도 있지만 지금의 안정적인 직장을 다니는 것을 선택했다고 하는데요. 나이가 노령기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도전에 대한 불안감과 부양가족이 여전히 있다는 점이 이 같은 선택을 하게된 이유라고 합니다.


A씨가 다니는 회사는 임금피크제가 적용되더라도 회사가 제공하는 복지는 모두 적용받을 수 있어 더할 나위없이 좋다고 말합니다. A씨의 가족이 받게 되는 회사복지도 계속해서 유지되며 회사 직원으로서 누리게 되는 사회적 서비스도 모두 받을 수 있으니 자신의 선택을 후회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임금피크제에 대해서 가볍게 정리해보는 포스팅을 해봤는데요. 정년을 앞둔 가족이 있는 분들에게 알찬 정보가 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